주거시설 계획 각론 <단독주택>
* 주거시설 분류
1. 주택 - 단독주택, 다가구주택, 다중주택
- 근린생활시설 + 단독주택
2. 공동주택 - 다세대주택, 연립주택, 아파트
- 근린생활시설 + 공동주택(주상복합)
3. 기숙사(공동주택)
4. 공관(단독주택)
* 방위에 따른 각실 배치
남 : 방, 거실, 테라스, 발코니, 정원, 주방
동 : 응접실, 침실, 현관, 목욕실, 방, 배선실, 간이식당
(남동 : 서재, 주방, 거실, 식당)
서 : 계단실, 복도, 창고, 차고, 현관, 욕실
(남서 : 접객실, 현관, 음악실, 흡연실)
북 : 작업실, 냉동실, 창고, 기계실, 차고, 화장실
- 전용면적 60제곱미터 (18평) 정도의 일반적인 단위플랜을 기준하여 여러 형태의 단위플랜 변형계획 가능
- 60 제곱미터 이상은 남측 외변에 면하여 3 베이 (방+거실+방) 형태가 가능하며, 면적 증가에 따라 4 베이도 가능
<단독주택>
1. 기본계획
1) 대지선정
* 자연적 조건
- 일조와 통풍이 양호한 곳
- 지반이 견고하고 배수가 잘 되는 곳
- 평탄지 (경사지일 경우 경사도 1/10 이하)
- 대지면적 : 건축면적 3~5배
- 대지의 형태 : 정형의 직사각형 (대지가 작을 경우는 동서로 긴 대지가 좋고, 대지가 클 경우 남북으로 긴 대지가 좋음)
* 사회적 조건
- 교통이 편리한 곳
- 도시의 제반 시설의 이용이 편리한 곳 (상하수도, 전기, 가스 등)
- 공공시설, 학교, 의료시설, 도서관, 공원 등의 이용이 편리한 곳
- 판매시설이 가까울 것
2. 인동간격
- 일조, 통풍, 채광, 방재, 프라이버시
- 방위각 : 남향 이외에는 동쪽 18도 이내, 서쪽 16도 이내
3. 단독주택 개요
- 1호의 주거 1동이 단층 또는 중층으로 구성된 단일건물
* 주생활 기준
- 1인당 주거면적 (공공공간을 제외한 면적, 건축 연면적의 50~60%)
- 최소 10 제곱미터, 표준 16.5 제곱미터
4. 세부계획
1) 평면계획
* 단위플랜 (유닛) 결정조건
- 거실과 침실은 직접 출입이 가능하게
- 각각의 실은 다른 실을 통해 출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
- 부엌과 식당은 인접
- 주부의 동선을 가장 중요시하며, 개인권, 사회권, 가사노동권의 동선은 분리
- 동선의 3요소 : 속도, 빈도, 하중
* 실 구성의 형식 및 기호
- K형 : 부엌
- D, K형 : 식당+부엌
- L, D, K형 : 거실+식당+부엌
- L, D형 : 거실 + 식당
- 다이닝포치 : 식당+현관
2) 각 실 계획
* 거실
- 건축 연멱적의 약 30%
- 거실 1인당 소요바닥면적 최소 4~6 제곱미터
- 가능한 거실의 한쪽벽만을 다른 실과 접속시켜 출입구를 설치하고 나머지 3면을 확보하도록 한다.
* 침실
- 침실의 위치는 현관과 멀리 떨어진 곳으로 정적인 곳에 계획
- 침대의 머리방향은 창을 두지 않으며 외벽에 면하도록 계획
- 누운 채로 출입문이 보이도록 하며 안여닫이로 계획
- 부부침실 : 독립성 확보
- 노인침실 : 식당, 욕실 등 근접시켜 보건 고려
- 자녀침실 : 거실에서 멀리 두지만 가사실로부터 쉽게 돌볼 수 있도록 고려
* 식당
- 침, 식 공간 분리
- 부엌과 인접시키며 대형식당인 경우 팬트리(배선실)를 중간에 두어 해치나 출입구를 통해 공급
- 분리형 : 거실이나 식사실, 부엌이 완전히 분리된 형식
- 개방형
- (다이닝 키친 : dining kitchen) 일명 다이넷(dinette)이라 하며, 부엌의 일부에 식탁을 놓는 것
- (다이닝 앨코브, 리빙 다이닝 : dining alcove, living dining) 거실의 일단에 식탁을 꾸며 놓은 것 (보통 6~9 제곱미터)
- (리빙 키친 : living kitchen) 거실, 식사실, 부엌을 한 공간에 꾸며놓은 것
- (다이닝 포치, 다이닝 테라스 : dining porch, dining terrace) 여름철 등 좋은 날씨에 포치나 테라스에서 식사하는 것
* 주방
- 방위는 남쪽이나 동쪽에 두며, 서쪽은 피한다
- 작업순서 : 준비 - 냉장고 - 싱크대 - 조리대 - 가열대 - 배선대 - 식당
- 작업삼각형 : 냉장고 - 개수대- 가열대
- 작업대 : ㅡ자형, ㄱ자형, ㄷ자형 등
- 부속공간 : 가사실, 옥외작업장, 다용도실, 배선실 등
* 욕실 및 화장실
- 외기에 면하며 자연환기 고려
- 세면기 높이 70~75cm
- 설비 배관 상 부엌과 인접시키며 북쪽 및 서쪽에 위치
5. 노인주거계획 시 주의사항
- 소외감과 고독감을 느끼지 않도록 거실 가까이에 노인 침실 마련
- 프라이버시 확보 고려
- 문의 크기 : 휠체어 통과 고려 폭 90cm 이상
- 계단 (폭) 120 (너비) 30~32 (높이) 15~16 cm
- 난간대 (높이) 80~85 (2단 설치) 65, 85cm
- 세면대 (높이) 65cm
'[본업] 건축사 > 건축사 2교시 평면설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건축설계1 이론 정리 - 주거시설 계획 각론 <공동주택> (0) | 2023.04.29 |
---|---|
1-2. 건축설계 평면계획 프로세스 - 모듈계획법, 조닝계획법 (0) | 2023.04.23 |
1-1. 건축사자격시험 건축설계 이론 각론 총론, 대지 조건 유형 및 평면계획 (0) | 2023.04.23 |